본문 바로가기

POLICY INITIATIVE

임도 활용한 경기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임도 활용한 경기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과제분류정책연구

발행연도2024

보고서 번호2024-46

저자이수진, 정대영, 황선아

원문
국문요약
영문 요약
인포그래픽

경기도 임도 활용방안을 크게 3가지로 구분, 6가지 세부 유형으로 분류하여 제시
❍ 임도 활용방안은 연계자원 측면에서 1) 산림자원 활용형, 2) 기존 관광자원과의 연계형, 3) 마을연계 소득사업형으로 분류
- 산림자원 활용형은 자연휴양림 및 국・도립공원 등 산림자원에 기반한 산림휴양・치유형과 보전관리형으로 세분화
- 기존 관광자원과의 연계형은 산림레포츠형, 역사문화자원형으로 분류
- 마을연계 소득사업형은 체험마을 연계형, 임산물 재배형으로 분류
❍ 산림휴양・치유형 : 숲 노르딕 워킹, 황토어싱길 등 웰니스 워킹프로그램, 숲치유 프로그램, 숲 경관개선(명품숲) 사업 등
❍ 보존관리형 : 플로깅 챌린지, 관광임도 지킴이 등의 ‘더 클린 임도’사업, 기업 ESG 활동 연계, 숲 지속관리 모니터링 등
❍ 산림레포츠형 : 산악MTB, 마운팅 카트 등의 ‘포레스트 레포츠’를 비롯해 짚라인, 숲속 롤러코스트 등의 ‘포레스트 어드벤처’ 사업 추진 등
❍ 역사문화자원형 : 역사문화스토리길을 조성하고, 사찰의 사찰림을 활용하여 템플스테이와 연계한 사색길, 수련길 등으로 임도를 활용하여 정비 등
❍ 체험마을 연계형 : 마을주민 대상으로 관광임도 마을해설사 양성과 산행도시락 및 체험키트 등의 개발을 통해 마을내 관광객을 유인하고, 마을생산 식재료를 활용한 숲 레스토랑 등을 운영하여 마을의 소득을 유발
❍ 임산물 재배형 : 산림조합, 산림교육원 등과 협업하여 재배기술을 주민들에게 교육 전수하고, 임도주변 여유공간에 육묘장 및 다원 등의 임산물 체험단지 등을 조성하여 생산・판매・유통뿐만 아니라 관광체험 공간으로도 활용
□ 경기 관광임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통합 마케팅 방안으로 6가지 사업을 제시
❍ 제시한 6가지 사업은 1) 경기 관광임도 브랜드화, 2) 경기 관광임도 거점 지원 사업, 3) 경기 관광임도 상품화, 4) 경기 관광임도 대표 이벤트 개발, 5) 경기관광임도 홍보・마케팅 채널 다각화, 6) 주민역량 강화 지원
- ‘경기 관광임도 브랜드화’를 위한 사업추진 방안으로 경기 관광임도 네이밍 및 BI 개발, 경기 관광임도 브랜딩 등 제시
- ‘경기 관광임도 거점 지원사업’ 추진을 위한 방안으로 경기 관광임도 거점 공모사업시행, 거점 기반 상품 인증제도 도입 등 제시
- ‘경기 관광임도 상품화’를 위하여 경기 관광임도 탐방 코스 및 특화상품 개발, 경기관광임도 스탬프 투어 프로그램 운영 등 제시
- ‘경기 관광임도 대표 이벤트 개발’을 위한 사업추진 방안으로 순환형 산림레포츠 대회개최, 경기 관광임도 특화 테마형 이벤트 기획 등을 제시
- ‘경기 관광임도 홍보・마케팅 채널 다각화’를 위한 사업추진 방안으로 인근 마을과의 연계 홍보, 경기 관광임도 명소 이미지 홍보, 민간기업 연계 홍보, 경기도민 참여형 홍보 방안을 제시
- ‘주민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사업추진 방안으로 관광임도 주변 마을리더 육성, 관광임도 마을 해설사 양성・운영, 관광임도 주변 마을 네트워크 구축 및 현장포럼 개최하는 것을 제시

이수진의 다른 보고서

  • 관리부서 성과확산부
  • 담당자 엄예우
  • 전화번호 031-250-3579
  • Email